GPT‑4o의 이미지 생성 기능, DALL·E와 뭐가 다를까?
1. GPT‑4o 이미지 생성 기능의 등장 배경2024년 5월 OpenAI는 새로운 모델인 GPT‑4o(Omni)를 공개하며, 기존의 텍스트 중심 AI에서 멀티모달 인공지능 시대로의 전환을 선언했다. GPT‑4o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까지 다양한 입력을 실시간으로 이해하고 반응할 수 있는 모델로, 특히 이미지 생성 기능의 통합이 주목받았다. 기존의 이미지 생성 도구였던 DALL·E 3는 텍스트를 입력하면 이미지를 출력하는 구조였지만, GPT‑4o는 대화를 기반으로 그림을 직접 그리거나, 기존 이미지에 대한 설명, 수정, 재해석까지 할 수 있다. 즉, 단순 출력 도구에서 인터랙티브 창작 파트너로 발전한 것이다. 이 기능은 웹 기반 GPT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프롬프트 작성 없이도 자연어 대화만으로..
2025. 7. 16.
DALL·E, Midjourney, SDXL의 차이점 완벽 정리
1. AI 이미지 생성 툴의 대표 주자 3인방AI 이미지 생성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다양한 플랫폼과 도구들이 등장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널리 알려진 3대 툴이 바로 DALL·E, Midjourney, 그리고 **Stable Diffusion(SDXL)**이다. 이 세 가지 도구는 모두 텍스트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자동 생성하지만, 사용 목적, 스타일, 설정 자유도, 접근 방식에서 확연히 다르다. 초보 사용자부터 디자이너, 개발자까지 각기 다른 니즈에 맞춰 선택할 수 있어, 이들의 특징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2024년 이후로 각 플랫폼은 업데이트가 반복되며 기능 차이가 뚜렷해졌기 때문에, 단순히 “그림을 잘 뽑아주는 툴”이 아닌, 전략적 선택 도구로 인식해야 한다.2. DALL·E: 직관적..
2025. 7. 15.